001-용어 정리

001 - 경관의 정의

Beyond Dream 2009. 10. 14. 14:16

01. 경관법 제2조(정의)
  1. "경관"이란 자연, 인공요소 및 주민의 생활상 등으로 이루어진 일단의 지역환경적 특징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02. 경관법과 경관계획(2008.12), (사)한국경관협의회
 -발췌(p.19)-
  '경관'이라는 말은 이제 우리 일상생활에서도 흔히 쓰이는 말이 되었지만 이를 정의하자면 쉽지가 않다. 그간 사용되어오던 정의 중에서 가장 쉽고도 명료한 정의로는 '보이는 환경'을 들 수 있다. 요즈음은 보다 포괄적으로 '느끼는 환경'이라고도 한다. 이들은 무엇보다도 경관을 시각적으로 감지되는 우리 둘레의 외부환경이라는 가장 1차적인 정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정의에는 심미적 차원이 핵심개념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당부분 주관적인 면을 갖고 있다.

  어원학적으로 볼 때도 서양에서는 풍경화에서 비롯되어 정원과 조경에서 쓰인 심미적 뜻(landskip)으로 먼저쓰였으며, 이와 함께 중세 봉건영주가 소유한 일단의 토지(landshaft)라는 개념이 동시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20세기 초 인문지리학에서 사용한 지역개념 등의 토지공간의 개념도 겹쳐진다(황기원, 1989). 이렇게 볼 때 경관이라는 말은 본질적으로 다의적 의미를 지니며 시각적 측면을 위주로 하여 생태적인 측면과 토지공간적인 측면을 동시에 갖고 있다고 하겠다. 

  경관의 사용빈도가 많아지는 최근으로 올수록 경관의 의미는 지역ㅁ누화, 특정지역의 분위기, 이미지, 정체성 등을 포함하는 더욱 포괄적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경관을 시각적, 문화적 차원으로 좁혀서 볼 때도 경관이라는 것은 '보이는 대상'과 '보는 주체', 양자 간의 관계 속에서 성립한다. 즉, 경관은 산이나 바다 그 자체와 같이 저 혼자 존재하는 물리적 대상 그 자체만으로 성립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언제나 주체로서의 사람이 보는 행위를 전제로 성립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한자어 경관이 '경(景)'과 '관(觀)'이라는 두 가지 의미의 복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 또한 경관의 의미가 보이는 대상으로서의 '경'과 보는 주체의 행동으로서의 '관'이 결합된 것이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먼저 얘기한 경관의 심미적 차원에서 볼 때도 아름다운 경관이란 대상 자체가 객관적으로 아름다운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하는 것과 동시에 보는 사람 개인이나 집단이 주관적으로 아름답게 느낄 수 있는 상황이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