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관법과 경관계획(2008), (사)한국경관협의회 p.28 발췌
이미지(Image)란?
쉬운 말로 '머리 속의 그림(mental picture)'이라고 한다. 도시이미지란 '도시 전체의 상(像)'이라고 볼 수 있다. 환경이미지란 외부의 환경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관찰자의 경험과 가치에 통해 해석된 상태로 받아들인 '인지된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린치(Lynch, 1960)는 심리학에서 사용했던 이미지 지도(Image Map)를 가지고 도시의 공공적 이미지의 원형을 파악했다. 그가 발견한 도시이미지를 구성하는 5대 시각적 요소는 랜드마크(Landmark), 결절공간(Node), 통로(Path), 지구(District), 경계(Edge)였는데 이들이 쉽게 패턴으로 조직될 수 있을 때 도시는 이미지성이나 명료성을 갖게된다고 하였다. 그는 도시이미지가 정체성, 구조, 의미의 세 측면을 갖고 있다고 함으로써 이미지가 정체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았다.
* 경관분석론(1993), 임승빈, p.147 발췌
이미지(Image)란?
린치(Lynch, 1960)는 도시의 이미지를 연구함으로써 도시설계의 새로운 측면을 개척하였다. '이미지'는 인간환경의 전체적인 패턴의 이해 및 식별성을 높이는데 관계되는 개념이다. 린치는 이미지성(Imageability)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관찰자에게 강한 이미지를 줄 수 있는 물리적 사물이 지닌 성질이다. ……식별성(Legibility)이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며, 또 다른 측면에서 가시성(Visibility)이라고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Lynch, 1979, p.9).
린치는 도시의 이미지 형성에 기여하는 물리적 지표로서 통로, 모서리, 지역, 결절점 및 랜드마크의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이는 3개의 도시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이다.
일정 물리적 환경은 관찰자의 입장에 따라서 상이한 요소로 해석될 수 있다. 즉 고속도로는 승용차에게 '통로'로 보일 것이나, 보행자에게는 '모서리'로 보여질 것이다. 또한 중심지구는, 지역적 규모를 고려할 때는 '결절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된 다섯 가지 요소는 일정한 관찰자의 입장하에서 그 의미를 갖는다.
린치는 도시의 이미지 분석방법으로서 2가지 방법에 의한 조사와 두 조사결과의 종합을 제시하였다(Lynch, 1960, pp.156-157). 첫째의 방법은 훈련된 조사자가 현장관찰을 통하여 도시의 강한 이미지 혹은 약한 이미지를 지닌 곳, 일반적 패턴, 부분적 특징 등을 표현하는 지도 및 간단한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둘째의 방법은 도시인 가운데에서 표본을 추출하고 도면, 스케치, 설문 등을 통하여 언급된 물리적 요소들의 빈도수, 강한 요소들, 도시구조에 대한 느낌, 종합적 이미지 등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들 두 조사결과의 상호비교 및 더욱 세부적인 조사를 통하여 일반대중의 이미지, 시각적 문제점 및 강점, 중요한 요소 및 요소 상호간의 관계성, 각 부분의 질, 개선의 가능성 등을 나타내는 여러 도면 및 보고서를 작성한다. 이러한 분석들은 일정 도시의 미래의 시각적 형태를 설계하는 있어서 기초가 된다.
린치의 연구는 표본수가 적어서 그 개념의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후속된 연구들(De Jonge, 1962; Evans et al., 1981; Gulick, 1963)은 모두 린치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미지(Image)란?
쉬운 말로 '머리 속의 그림(mental picture)'이라고 한다. 도시이미지란 '도시 전체의 상(像)'이라고 볼 수 있다. 환경이미지란 외부의 환경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관찰자의 경험과 가치에 통해 해석된 상태로 받아들인 '인지된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린치(Lynch, 1960)는 심리학에서 사용했던 이미지 지도(Image Map)를 가지고 도시의 공공적 이미지의 원형을 파악했다. 그가 발견한 도시이미지를 구성하는 5대 시각적 요소는 랜드마크(Landmark), 결절공간(Node), 통로(Path), 지구(District), 경계(Edge)였는데 이들이 쉽게 패턴으로 조직될 수 있을 때 도시는 이미지성이나 명료성을 갖게된다고 하였다. 그는 도시이미지가 정체성, 구조, 의미의 세 측면을 갖고 있다고 함으로써 이미지가 정체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았다.
* 경관분석론(1993), 임승빈, p.147 발췌
이미지(Image)란?
린치(Lynch, 1960)는 도시의 이미지를 연구함으로써 도시설계의 새로운 측면을 개척하였다. '이미지'는 인간환경의 전체적인 패턴의 이해 및 식별성을 높이는데 관계되는 개념이다. 린치는 이미지성(Imageability)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관찰자에게 강한 이미지를 줄 수 있는 물리적 사물이 지닌 성질이다. ……식별성(Legibility)이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며, 또 다른 측면에서 가시성(Visibility)이라고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Lynch, 1979, p.9).
린치는 도시의 이미지 형성에 기여하는 물리적 지표로서 통로, 모서리, 지역, 결절점 및 랜드마크의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이는 3개의 도시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이다.
일정 물리적 환경은 관찰자의 입장에 따라서 상이한 요소로 해석될 수 있다. 즉 고속도로는 승용차에게 '통로'로 보일 것이나, 보행자에게는 '모서리'로 보여질 것이다. 또한 중심지구는, 지역적 규모를 고려할 때는 '결절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된 다섯 가지 요소는 일정한 관찰자의 입장하에서 그 의미를 갖는다.
린치는 도시의 이미지 분석방법으로서 2가지 방법에 의한 조사와 두 조사결과의 종합을 제시하였다(Lynch, 1960, pp.156-157). 첫째의 방법은 훈련된 조사자가 현장관찰을 통하여 도시의 강한 이미지 혹은 약한 이미지를 지닌 곳, 일반적 패턴, 부분적 특징 등을 표현하는 지도 및 간단한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둘째의 방법은 도시인 가운데에서 표본을 추출하고 도면, 스케치, 설문 등을 통하여 언급된 물리적 요소들의 빈도수, 강한 요소들, 도시구조에 대한 느낌, 종합적 이미지 등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들 두 조사결과의 상호비교 및 더욱 세부적인 조사를 통하여 일반대중의 이미지, 시각적 문제점 및 강점, 중요한 요소 및 요소 상호간의 관계성, 각 부분의 질, 개선의 가능성 등을 나타내는 여러 도면 및 보고서를 작성한다. 이러한 분석들은 일정 도시의 미래의 시각적 형태를 설계하는 있어서 기초가 된다.
린치의 연구는 표본수가 적어서 그 개념의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후속된 연구들(De Jonge, 1962; Evans et al., 1981; Gulick, 1963)은 모두 린치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001-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6 - 경관법에 나오는 용어 정리 - 01 - 목록 (0) | 2009.12.14 |
---|---|
005 - 장소성(Sense of Place) (1) | 2009.11.02 |
003 - 정체성(identity) (0) | 2009.10.26 |
002 - 쾌적성(Amenity) (0) | 2009.10.20 |
001 - 경관의 정의 (0) | 2009.10.14 |